분사구문 - 시제
- Gooya Yo
- Mar 12
- 2 min read

분사구문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첫 출발은 동사(adverb)였다. 이것을 분사화(participle) 시켜서, 부사절을 대신하는 분사구가 되는 것이다.

동사가 전달해낼 수 있는 의미인 시제(tense)와 그리고 행동의 주체인 주어(subject)를 나타내는 가장 큰 기능을 분사구문도 가지고 있다.
왜? 태생이 동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사구문의 완성은 '시제'와 '의미상의 주어'까지 표현할 줄 아는 것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시제(tense)'를 살펴보자.
Because he spent money recklelssly when he was young, he is unable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 Having spent money recklessly when he was young, he is unable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 부사절인 'Because 이하 절'의 시제는 과거이고, 주절의 시제는 현재이다. 두 개의 절로 구성된 한 문장에서, 각절의 시제가 차이가 존재한다. 절로 있을 때에는 동사구가 시제를 정확하게 전달하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줄일 때는 하나 앞선 시제를 분사구문에 표현해 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Having spent'로 표현되었다.
주절보다, 시제가 앞선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표현할 때는 '완료형 시제: having + 동사 완료형(p.p)'을 사용해서 표현한다.

예를 더 살펴보자.
Although he has studied physics for two years, Edward can't still get the mastery of that subject.
-> Having studied physics for two years, Edward can't still get the mastery of that subject.
-> 'although 부사절'의 시제가 'has studied'인 현재완료로, 주절의 'can't'인 현재보다 앞서있다. 그래서 분사구문의 시제를 완료형으로 'Having studied'로 표현하였다.
계속 더 살펴보자.
Because he had supported his daughter to become an actress, he was tremendously happy when Amada finally made a debut in a movie. -> Having supported his daughter to become an actress, he was tremendously happy when Amada finally made a debut in a movie. -> 부사절인 'Because 이하 절'의 시제가 '과거완료'이고 주절의 시제가 과거(was)이다. 하나 앞선 부사절의 시제를 포함한 분사구문의 표현을 위해 'Having supported'로 시제를 표현하였다.
주절과 부사절의 시제가 같은 경우도 살펴보자.
As she was interested in maths, Marie didn't hesitate to choose physics as a major.
-> (Being) interested in maths, Marie didn't hesitate to choose physics as a major.
-> 부사절과 주절의 시제가 과거로 일치한다. 따라서 분사구문을 단순시제로 'being interested'로 표현했다. 'being'은 생략 가능하다.
Although Brian wants to go to the party, he stays at home to finish his homework.
-> Wanting to go to the party, Brian stays at home to fininsh his homework.
-> 부사절과 주절의 시제가 모두 '현재'로 일치한다. 따라서 분사구문도 단순시제로 'wanting to~'로 표현하였다.

*분사구문의 시제는 두 가지이다.
단순시제: 주절과 부사절의 시제가 일치할 때 -> 단순형 분사로 표현
앞선 시제: 부사절의 시제가 주절보다 앞서있을 때 -> 완료형 분사로 표현 (having + p.p)
%20(1)%20(1).png)
Comments